Program/DataBase

[Oracle] INSTR 특정 문자 확인 함수 오라클에서 특정 문자 확인 하는 함수 대부분 알고있는 LIKE 함수와 유사해 보인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LIKE - 특정 문자가 그냥 포함 되어있는 여부를 확인 INSTR - 특정 문자가 포함 되어있는 여부 와 위치를 확인 LIKE는 독립되게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INSTR는 다른 쿼리등과 함께 쓰는경우가 많다. ▼사용법INSTR('문자', '비교하고자하는 값', 시작할 위치, 결과의 순번) ▼예제123456789101112 -- TEST = AA-012 --컬럼을 사용SELECT INSTR(TEST, '-') AS INSTR_TEST FROM TABLE_NAME; -- RESULT = 2 --문자를 사용SELECT INSTR('TEST-012',..

[Oracle] ROWNUM 주의 사항(페이징 or 정리시) ▼ WHERE or ORDER BY 절 이없을때 1. 주로 착각 하고 잘못 사용 경우123 SELECT ROWNUM, COL1, COL2 FROM TABLE_NAME ORDER BY COL1 ASC; D//Colored by Color Scriptercs -> RUM과 COL1 이 동일 하게 나옴. 문단의 정리 가 필요하다. 2. 잘 사용했을 경우1 SELECT ROWNUM RNUM, COL1, COL2 FROM (SELECT ROWNUM, COL1, COL2 FROM TABLE_NAME ORDER BY COL1 ASC) TABLE_1; cs -> RNUM과 NUM의 값이 다르게 나오며 다른방식으로 사용 할수있다. ▼ WHERE or ORDER..

DDL, DML, DCL + TCL 이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정의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정의(DDL), 데이터 조작(DML), 데이터 제어(DCL)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다. SQL은 단순 독립된 하나의 개발언어이다.하지만,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달리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담 접속 용도로 사용되며 세미콜론(;)으로 분리되어 있는 SQL 문장 단위로 독립되어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수학의 집합 논리에 입각한 것이므로, SQL도 데이터를 집합으로써 취급한다.이렇게 특정 데이터들의 집합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꺼내서 조회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수정/삭제하는 행위를 통해..

*CMD/ SQL PULS/ Oracle 접속 접속방법 CMD 를 통하여 SQL PLUS를 이용해 Oacle로 접속 하여야 할 경우가 있었다. 자주 쓸 당시엔 해당 방법을 숙지 하고 외우고 쓰지만 자주잊게 되는 것이 사람인지라 이렇게 기록을 남김. sqlplus 계정명/비밀번호@아이피번호:포트번호/SID명 1sqlplus id/pw@ip:port/sidcs 을 통하여 해당 계정에 접속하면 된다. 혹시 나같이 자주 잊는 사람을 위해 적어두며 잊지않도록 하자.